Skip to main content

[Android] Gradle, Groovy Books

최근 AndroidAndroid Studio 라는 통합 개발툴과 함께 새로운 빌드 시스템을 공개 했다.

그동안 Android 의 유명한 Opensource Library 는 대부분 Maven 을 기반으로 배포되고 있었는데 Android 가 채택한 빌드툴은 바로 Gradle 이다.

Gradle Logo
figure 1. Gradle Logo
Gradle 은 Java 진영에서 Maven 이후 주목받고 있는 차세대 빌드툴 이다.
Ant 와 Maven 의 장점과 함께 더 발전된 기능들을 제공하고 있고,  Groovy 라는 언어를 기반으로 동작 한다고 한다.

나 역시 Maven 까지는 어깨너머로 본 기억이 있지만, Gradle 은 정말 처음인지라 Android 를 하는데 이런것 까지 해야되나 라는 생각이 들기도 한다.

하지만, Android 의 성장과정을 생각해 보면 이러한 빌드툴은 반드시 필요하긴 하다.

최근 Android Project 는 단일 Project 로 진행 되는 경우가 거의 없을 정도로 다양한 Opensource 및 Libraries 를 포함하고 있다.

단순히 Eclipse 에서 Compile 로 Device 에 App 을 올리기에는 덩치가 너무 커지고 있고, 기본이 되는 Build Tool 이 없기 때문에 Ant 나 Maven 등 기존 Java 진영에서 많이 사용하고 있는 여러 Builde Tool 들이 사용되다 보니 개발자 입장에서는 여러 Library 를 사용할때 어려운 점에 봉착 하기도 하기 때문이다.

그런데 이 Gradle 를 공부하기 위해서는 Groovy 라는 언어에 대한 이해가 먼저 선행 되어야 한단다.

figure 2. Groovy Logo
Groovy 가 Java 기반의 언어라고는 하지만 Android 하나 하기도 벅찬데 Build 를 위해 새로운 언어를 공부해야 된다는 점은 부담으로 작용된다.

더욱이 우리나라에 Groovy 번역 도서는 달랑 한권. Gradle 관련 도서는 전무한 상태이다.
그마나 Groovy 와 Gradle 를 자세히 정리한 블로그가 있고, Groovy Korea 가 있어 여러 정보를 얻을 수 있을 것 같다.

당연한 이야기지만 위 사이트들은 Android 에 한정된 이야기만을 하는 사이트 들이 아니다.
나처럼 Android 개발을 위해 Groovy 와 Gradle  에 접근한 사람들에게는 그 내용이 방대하고 어디서부터 시작해야 할지 난감할 것이다.

그래서 오늘부터 Android 개발을 위해 Groovy 와 Gradle 를 공부해 볼 생각이다.
일단은 Groovy 기본을 좀 보면서 Gradle 을 사용할 수 있는 기초를 닦은 후, Android Project 에 적용해보도록 해야겠다.

전쟁에 나가기 전에 준비를 철저이 하듯이, 새로운 언어에 적응하기 위해 책을 구입하고 말았다.

바로 Groovy in Action( 한국판: 프로그래밍 그루비) 와 Building and Testing with Gradle  이다.
figure 3. Groovy in Action
2009 년에 나온 번역서라 시대에 좀 뒤쳐지지 않을까 생각이 들기도 하지만, 엄청 유명한 도서 인데다, 그리고.. 번역서라곤 이거 한권 뿐이다.

figure 4. Building and Testing with Gradle
게다가 Gradle 는 번역서도 없다. 때문에 원서 pdf 를 통해 공부해야 할 판이다. 한글로 써 있어도 어려운 판국에.. 원서라니 .. 하지만 별다른 수가 없으니.. 어서빨리 번역서가 나왔으면 좋겠다..ㅠ

앞으로 계획도 좀 잘 세워서 하나하나 차근차근 배워 나가도록 해야겠다.
한편으로는 새로운 빌드툴을 공부한다는 생각에 의욕이 100%!

Comments

Popular posts from this blog

Google Press Event 7/24/13

Sundar Pichai 와 함께한 아침. Google 은 3가지 새로운 제품에 대한 발표를 하였습니다. 1. 2nd Nexus7 첫번째는 이미 소문이 무성했던 Nexus7 입니다. 성능이 대폭 향상되었습니다. Nexus 7 발매와 더불어 google app 들이 업데이트 되었고, Google Play Game 과의 연계성도 더욱 향상되었습니다. 4G LTE 는 미국에만 제한적으로 사용될 것으로 보입니다. 가격은 다음과 같습니다. - 16GB WIFI : $229 - 32GB WIFI : $269 - 32GB LTE : $349 조만간 발매될 국가에 한국도 포함되어 있습니다. (만세!) Google Play 에서 판매 예정이라고 합니다. 개인적으로 고화질 디스플레이 와 OpenGL|ES 3.0 이 지원되면서 게이밍 기능이 향상된 점을 강조하는 것이 눈에 띄였습니다. 아마도 멀티미디어 적인 기능향상으로 인한 자신감이 아닐까요. 2. Android 4.3 두번째로 Android 4.3 에 대한 소식입니다. 새로운 기능들이 많이 추가되었습니다. 4.3 APIs  는 바로 다운 받을 수 있습니다. http://developer.android.com/about/versions/jelly-bean.html 개인적으로 눈에 띄는 APIs 는 ActionBar 가 드디어 하위버전을 지원하기 시작했다는 것 입니다. new v7 appcompat library 에 추가 된 사항으로 Android 2.1(API level 7) 까지 지원합니다. 이를 지원하기위해  ActionBarActivity class 가 새로이 추가 되었습니다. 3. Chromecast 위 두 소식은 이미 들은 이야기가 많았지만 chromecast  는 좀 생소했습니다. 쉽게 생각해서 Apple 의 AirPlay 와 흡사하다고 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

[리뷰] 스위프트 프로그래밍

스위프트 3 가 발표된 이후로 국내에도 스위프트 3 내용을 다루는 책들이 하나둘씩 출간되고 있습니다. 그리고 지금부터 이야기할 <스위프트 프로그래밍> 역시 그중 한 권입니다. 이 책은 기존에 있던 책들과는 달리 iPhone이나 Mac App 개발에 필요한 내용을 다루지는 않습니다. 개인적으로는 이러한 점 때문에 스위프트란 언어 자체에 좀 더 집중할 수 있었습니다. 책은 크게 다섯 개의 파트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파트별 목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Part Ⅰ 스위프트 기초 1. 스위프트 2. 스위프트 처음 시작하기 3. 데이터 타입 기본 4. 데이터 타입 고급 5. 연산자 6. 흐름 제어 7. 함수 8. 옵셔널 Part Ⅱ 객체지향 프로그래밍과 스위프트 9. 구조체와 클래스 10. 프로퍼티와 메서드 11. 인스턴스 생성 및 소멸 12. 접근제어 Part Ⅲ 함수형 프로그래밍과 스위프트 13. 클로저 14. 옵셔널 체이닝과 빠른종료 15. 맵, 필터, 리듀스 16. 모나드 Part Ⅳ 확장 17. 서브스크립트 18. 상속 19. 타입캐스팅 20. 프로토콜 21. 익스텐션 22. 제네릭 23. 프로토콜 지향 프로그래밍 Part Ⅴ 스위프트 고급 24. 타입 중첩 25. 패턴 26. where 절 27. ARC 28. 오류처리 Part1, 2  까지는 스위프트 언어에 대한 기본적이고 전반적인 내용을 설명합니다. 스위프트를 처음 배우는 독자뿐만 아니라 스위프트를 조금 공부해 본 독자에게도 유용한 내용이 많았습니다. 특히, 스위프트 언어를 사용하는 데 있어 지켰으면 하는 규칙을 반복적으로 설명함으로써 자연스럽게 그러한 규칙이 손에 익히도록 한 점이 좋았습니다. 다만 중간중간 난이도가 갑자기 높아지는 부분이 있어 초심자에게는 책 앞부분에서 조금 힘들 수도 있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Part3  는 아마도 이 책에서 가장 ...

[Googe I/O 2014] 국산 재료로 Cardboard 만들기!

올해 Google I/O 에서 가장 흥미있었던 내용중 하나가 바로 Cardboard 였다고 한다. 사실 난 Android L Preview 와 Material Design 에 때문에 상대적으로 이녀석을 홀대하고 있었는데, 회사 선임님께서 요놈이 얼마나 대단한 녀석인이 알려주신 덕분에 관심을 갖게 되었다. 더군다나 제작 방법은 물론 Libraray 까지 제공하다니... 그래서 바로 만들기로 결정. 우선 아래 사이트를 참고하자. 1. Reference SIte - Cardboard 제작 - Cardboard API 사이트를 들어가면 친절하게 구매할 수 있는 사이트까지 링크되어 있으나...전부 아마존. 참고로 이 글을 쓰고 있는 지금까지 아마존에서 주문한 렌즈를 받지 못했다.(한 2주 된듯.) 그래서! 결국 국내에서 파는 제품들로 꾸려보기로 했다. 순수 국내산으로~ 이미 nurinamu 님 께서 블로깅을 하셨지만... 여튼. 필수 재료는 아래를 참고하자. 2. 국내에서 구입한 재료 목록 1)  렌즈 - 양면 볼록 렌즈 : 유리 / 직경 : 30mm / 초점거리 : 46mm (한알당 3,300원) 2)  자석 - 네오디움 원형사라 자석 : 지름 : 20mm / 두께 4T (1,460원) - 페라이트 자석 : 지름 : 20mm / 두께 5.0mm (2,000원) 3)  골판지 - 택배 박스 사용 (0원) NFC 는 집에서 저장할 방법도 없으니 Pass. 고무줄이나 밴드는 취향에 맞게... 사실 도면도 공개되어 있고, 재료만 구하면 만드는건 쉽다. 굳이 설명을 하자면... 자르고... 자르면 ... 골격완성! 그리고... 오랜 기다림 끝에 결국 받지못한 아마존 렌즈를 뒤로하고, 국내 사이트에서 주문한 렌즈를 끼워주면... (국내산 렌즈는 오전에 주문하고 다음날 점심에 바로 겟.) 이렇게 완성! 개인적으로 신기했던 것중 하나...